우리말성경
하나님을 만나는 쉬운 우리말 성경
두란노
우리말성경
하나님을 만나는 쉬운 우리말 성경
The Woorimal Bible
Old and New Testaments
Duranno Korean Version
Copyright © 2005, 2011, 2014 by Duranno Ministry, Seoul, Korea
All rights reserved.
The Woorimal Bible text may not be quoted in any form (written, visual, electronic, or audio) without express written permission of the publisher, Duranno Ministry.
우리말성경
발행일 2005년 6월 2일 초판 1쇄
2015년 12월 15일 3판 1쇄
등록번호 제 1988-000080호
등록된 곳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65길38
발행인 이형기
발행처 (사)두란노서원
편집부 (02)2078-3331
영업부 (02)2078-3333
주문처 (02)2078-3333
팩 스 080-749-3705
독자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사단법인 두란노서원 2007, 2011, 2014
편 찬 하용조 목사
약력 | 장로회신학대학원 졸업, 미국 바이올라 대학 명예 문학박사,
시카고 트리니티 신학교 명예 신학박사,
명지대학교 명예철학박사, 숭실대학교 명예기독교학박사,
두란노서원 원장, 온누리교회 담임목사,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총장 역임
저서 | 「행복의시작 예수그리스도」, 「행복한아침」,
「예수님의7터치」, 「예수님은사랑입니다」,
「사도행전적 교회를 꿈꾼다」, 「큐티하면 행복해집니다」,
「나는선교에 목숨올 걸었다」 의다수
“귀를 기울이고 내 목소리를 들어라. 주목해 내 말을 들어라.” (사 28:23)
“여호와의 두루마리를 찾아서 자세히 읽어 보라.”(사 34:16)
‘우리말성경’ 은 기도 중에 심혈을 기울여 만든 성경입니다. 특별히 초신자들과 우 리의 미래 세대인 청소년들, 그리고 본문의 정확한 의미를 구하는 구도자들이 주의 말씀을 듣고 읽을 수 있도록 번역했습니다. 그리고 정확성을 위해 본문을 일일이 원어성경과 대조 감수했습니다. 신세대 감각에 맞을 뿐만 아니라 통일을 염두에 두고 북한에서 사용하고 있는 성경(조선기독교도연맹 중앙 위원회 간행)의 표현을 주의 깊게 관찰하면서 번역했습니다. 원문에 충실하면서도 구조적, 언어적으로 정확하며 우리말 어법에 적합한 단어와 표현을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
‘우리말성경’ 을 통해 많은 사람이 구원의 길에 이를 수 있기를 바라며 성경 발간에 참여한 모든 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특히 이 성경은 많은 성도들이 늘 휴대하고 다니며 읽을 수 있도록 작은 판형으로 만들었습니다. 이 땅의 모든 사람들이 ‘우리말성경’ 을 통해서 하나님을 만나고 그분을 구주로 섬기는 그날까지 두란노는 말씀을 증거하는 사역을 멈추지 않고 이어갈 것입니다.
2006년 11월
하 용 조 목사
1. 성경 본문
• 성경 본문은 두란노서원이 발행한「우리말성경」(3판)을 사용했다.
2. 번역 성경
• 구약 성경- 히브리어 성경(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1987년)
• 신약 성경- 그리스어 성경(Novum Testamentum Graece, 1993년 27판)
3. 참조성경
• 한글 성경- 「성경전서 개역개정판」(1998년), 「성경전서 표준새번역 개정판」(2003년), 「공동번역성서 개정판」(1999년)
• 영어 성경- King James Version(1970년), New International Version(1984년)
• 북한 성경- 「성경전서」(조선기독교도련맹, 1990년)
4. 번역 방침
• 하나님 호칭인 ‘아도나이(יהוה)’ 는 ‘여호와’ 로 번역했다.
• 히브리어, 아람어, 그리스어 원문에 충실하게 번역하되 우리말 어법에 맞게 표현했다.
• 어린이와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추면서도 공예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번역했다.
• 원문의 뜻을 살리기 위해서 일부 구절에 번역 어투를 허용했다.
• 통일을 대비하여 북한에서 발행한 성경전서를 참조하여 번역했다.
5. 교정 규칙
• 성경 본문은 국립국어원의 〈한글 맞춤법〉을 원칙으로 따랐다.
• 〈한글 맞춤법〉에 없는사항들은 국립국어원에 문의를 거쳐 적용했다.
• 이전에 잘못 활용된 단어들은 〈표준국어대사전〉을 확인하여 교정했다. (예) 물매 → 무릿매 (삼상 17:40)
• 장 - 장이 시작되는 줄의 본문 앞에 굵은 숫자로 표기했다.
• 절 - 절이 시작되는 줄의 왼쪽 앞에 숫자로 표기했다.
• 소제목 - 본문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단락이나 장을 중심으로 소제목을 넣었다.
• 외래어 - 음역한 단어들은 모두 굵은 고딕체를 사용했다.
• 기호들
( ) 주석적 성격을 지닌 본문(요 1:38), 문맥의 흐름을 끊는 본문(왕상 10:11–12), 어떤 사본에는 있고 어떤 사본에는 없어서 원본의 반영임이 분명하지 않은 본문(막 3:14)은 소괄호 속에 넣었다.
[ ] 후대에 첨가된 본문이지만 교회에서 일찍부터 중요하게 여기고 읽어 온 본문은 대괄호 속에 넣었다(막 16:9–20).
: 성경 구절을 표기할 때에 장과 절 사이에 썼다(막 12:10).
; 책과 장이 바뀌어 열거할 때에 썼다(출 20:12; 신 5:15)
, 같은 장 안에서 절과 절 사이에 썼다(사 6:9, 10).
- 장이나 절이 연속적으로 이어질 때 썼다(막 16:9–20).
• 난외주 - 해당 본문 앞에 별표(*)로 표기했으며 그 내용은 본문 하단 ‘깊이알기’에 실었다.
• 도량형- 히브리어와 그리스어를 음역했고 현대적 도량형으로 환산해 실었다.
• 인용구절- 신약 성경에서 구약 인용 구절을 관련 구절 끝에 달았다.
• 들여쓰기- 인용문, 기도문, 시 등은 다른 본문과 구분하기 위해 한칸 들여쓰기를 했다.
• 발문- 중심 구절이나 암송 구절을 발문으로 달았다.
• 쪽수- 본문 상단 바깥쪽에 일련번호로 표기했다.
• 색상
- 성경 범주별로 색상을 ...
![]() |
About 우리말 성경두란노서원의 「우리말성경」은 원문에 기초하여 11년 동안 우리말로 번역한 성경입니다. 장년 신자뿐만 아니라 어린이와 청소년 그리고 초신자가 읽어도 쉽고 정확하게 성경을 이해할 수 있고, 특별히 통일을 염두에 두고 북한에서 사용하는 성경의 표현을 주의 깊게 관찰, 번역하여 통일시대를 위한 성경으로 발간되었습니다. 2014년에 3판으로 개정·출간되었습니다. |
Support Info | wrmlbbldkrnvrsn |